Git 9

commit을 삭제 후 다시 commit을 시도할 때 Everything-up-to-date가 뜰 경우

!!!!! 반드시 백업하고 진행할 것!!!!! $ git log -1 # 위를 입력해 되돌아갈 최근 커밋을 적어놓는다 . $ git checkout master # reset your branch head to your previously detached commit $ git reset --hard #처음에 적은 커밋 아이디를 commit-id 위치에 입력한다. -나의 경우 commit을 되돌리니 전부 초기화 되었으나 더이상 Everything-up-to-date는 나타나지 않았다. 참고 :stackoverflow.com/questions/999907/git-push-says-everything-up-to-date-even-though-i-have-local-changes

Git 2020.11.04

npm 모듈과 명령어, ESlint

node가 깔려 있으면 npm이 된다 npm 모듈을 설치하는 방법 npm install package.json 안에 있는 모든 dependency 모듈을 설치한다. npm -v npm의 버전을 확인한다. npm ls 현재 디렉토리에 깔려있는 패키지들을 확인 npm ls --depth=0 현재 디렉토리에 깔려있는 최상위 패키지들을 확인 lint는 스웨터 같은 옷의 보푸라기라는 뜻. 그냥 입어도 되지만 좋지 않다. 그런 린트를 잡아주는 것들을 linter라고 하는데 그런 린터 중 ESlinter가 있다. Getting stated with ESlint eslint.org/docs/user-guide/getting-started

Git 2020.10.21

git 브랜치 생성 및 브랜치 이동 방법

브랜치란? 독립된 작업영역 왜 브랜치를 사용? 분업을 할 때 각자 자기가 구현할 항목을 제작하는 공간이 필요해서. 하나의 원본을 베이스로 각자 자신의 브랜치에서 자신이 맡은 영역을 원본과 서로에게 영향을 주지 않고 개발이 가능 (물론 나중엔 합쳐야 함) *브랜치를 만들면! 현재 작업공간을 베이스로 만들어진다! 작업공간 이동 방법 $ git checkout : 현재 작업공간에서 브랜치로 작업공간을 이동한다. 브랜치 생성 방법 $ git checkout -b : 1. 브랜치를 만들고 2. 현재 작업공간에서 작업공간으로 이동한다. 원본을 베이스로 하는 다른 브랜치를 만들고 싶다면? 1. 베이스로 하고 싶은 원본으로 작업공간을 옮긴다. $ git checkout 원본 2. 브랜치를 생성한다. $ git chec..

Git 2020.10.20

git으로 페어와 함께 작업하기

1.처음 자신의 리포지토리를 클론해오고 git remote add pair ~~.git git remote -v 이걸로 페어를 해놓는다 (여기서 pair는 새로 연결하는 리모트 저장소의 이름이다. 다른 이름으로 써도 된다). 2.그리고 상대방이 코드를 다 쓰면 git pull pair master 로 상대방이 쓴걸 가져온다 3.코드를 쓴 후 git status로 변한파일이 있는지 확인하고 git add 변한 파일 git commit -m '코멘트' git push origin master(혹은 other branch name) 4. 2,3번을 상대방과 순서를 바꿔서 반복

Git 2020.10.19

git 커밋하기

각 파일들 다 풀면 하나씩 커밋하기 koans폴더로 들어가서 실행해야 함 git status 를 실행하면 변경된 파일이 나오는지 확인 git add koans/커밋하려는 파일명.js 입력 git commit -m '커밋메시지 ex - completed '커밋하려는 파일'' 이러면 각 과제들이 커밋되어 내 리포지토리에 저장됨 과제 제출 git push origin master 입력하면 리포지토리에 커밋이 저장됨 깃헙의 리포지토리에 들어가면 pull requests 탭을 누르고 new pull request를 누른다. 그 이후 create pull request를 누른다 Pre 7 000 Koans 과제 제출합니다. 입력하고 제출

Git 2020.10.19